2024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환승방법, 그리고 문제점
사회적 자립을 위한 윤석열 정부의 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의 조건과 환승방법,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또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신규가입이 좋은지, 환승인 연계가 좋을지 살펴보도록 하자! 잘만 활용하면 자산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본인이 납입하는 돈과 정부가 지원해주는 금액을 한달에 제일 많게는 70만원을 저축해 5년동안 5000만원의 재산을 형성할수 있다.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면 70만원을 5년 저축해 총 4200만원을 모으면 거기에 800만원을 정부해서 지원해 5000만원으로 돌려받는 것이다.
청년도약계좌가 있는 은행의 최고 연금리는 6퍼센트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과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은 작년인 23년 6.15~25년 12.31 이며,
가입조건으로는 만 19세부터 만 34세 청년중 가구와 개인소득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하다.
정부기여금을 받기 위해서는 총 급여가 6,000만원 이하여야 하고, 종합소득은 4,800만원 이하여야 한다. 소득여부와 상관없이 비과세로 한다.
청년도약계좌의 문제점
문재인 정권이 만든 청년희망적금의 대항마로 나온 청년도약계좌의 문제점이 있다면 너무 긴 가입기간이다. 가입기간이 2년이었던 청년희망적금도 중도해지율이 높아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청년도약계좌는 무려 5년이나 되어 중도해지율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 특별해지 시에도 정부기여금을 지급해줘서 3년이 지나 4.5퍼인 고정금리가 바뀌어 금리가 떨어지게 되면, 퇴직을 핑계로 적금을 해지해 정부기여금이 포함된 적금액을 받을수 있다.
좋은 회사의 경우 이런일은 없겠지만 만약 미래가 보장되지 않은 계약직이나 아르바이트의 경우에는 3년까지 적금하다 해지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것을 예상한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의 환승 방법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만기가 해지된 후 바로 도약계좌를 할수 있도록 1월 25일 부터 연계가입을 운영한다.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려는 은행 어플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을 한 후 알림톡의 링크에 신청인이 일시납입 정보 등을 입력한다. 그 다음엔 알림톡으로 결과통보 문자를 받게 된다.
그 후 청년희망적금 가입은행앱에서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를 한 뒤,
다시 청년도약계좌 신청은행앱에서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면 된다.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게 좋은가?
청년도약계좌를 24개월간 50만원을 냈다면 정부지원금 100만원 가량과 내 저축액 1200만원을 합친 1300만원이 된다.
이를 청년도약계좌에 연계할 경우, 70만원 을 18회 저축한 1260만원을 납부 한걸로 해주겠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다음 청년도약계좌와 바로 연계해서 19개월치부터 저축을 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신규와 비교해서 볼 때 5년동안 46만원이 더 생긴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5년간 묶여있는걸 감안해서 많은 사람들이 46만원을 포기하고 새로 가입하는게 좋다는 생각을 한다고 한다.